왜 이렇게 쓰기가 힘들지 =_= 쓰기 시작하면 쭉쭉 나가야 하는데... 잘 안 됨.

즉흥연주 피아노, 바리톤, 16명의 연주자를 위한 Tongue of the Invisible (2010–11)

Uri Caine 피아노
Omar Ebrahim 바리톤
Ensemble musikFabrik
지휘: André de Ridder

첼로 독주곡 Invisibility (2009)로 이 작곡가의 음악을 처음 접하고 꽤나 좋은 인상을 받았다. 이제까지는 유튜브 동영상이나 라디오 녹음으로나 접하고 있던 차에 몇 달 전 나온 이 음반을 사서 열심히 듣고 있다. 관현악곡을 모은 음반이 하나 더 나온다고 하니 그것도 곧 사게 되지 않을까 싶음.

림의 작품은 지금까지 (내가 들어본 바로는) 주로 중국이나 아보리진 문화를 바탕으로 한 것들이 많았다. Invisibility도 아보리진 예술에서 영감을 받아 초자연의 보이지 않는 힘을 표현한 곡. 물론 이런 다양한 시도들은 서구 아방가르드 예술 음악의 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작품은 중세 페르시아의 유명한 시인 하피즈의 시를 텍스트로 하였는데 내게는 이전 시도의 연장에 더 가깝다고 보여짐. 작품의 제목도 하피즈의 별명에서 따온 것이다.

이 작품의 중심에 놓여 있는 아이디어는 림의 표현을 빌려서 "고정된" 것과 "열린" 것의 공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까 이것은 이미 구체적으로 악보에 쓰여진 것과 연주자가 즉흥으로 연주할 수 있는 것(물론 일정한 제약 하에서)으로 설명된다. 6악장은 전체가 피아노가 예전 악장들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즉흥연주를 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5악장의 오보에 솔로는 정해진 구간들 여러 개를 놓고 연주자가 직접 순서를 정해서 연주하도록 하고 있다.

1악장에서 아직 바리톤이 등장하기 전에는 타악기, 비올라, 오보에가 주인공이 되는 기악 연주로 시작되는데, 이렇게 화려한 기악 선율들은 작품 내내 등장해서 마치 전주곡과 같은 역할을 한다. 드럼 패턴으로 연주되는 제의를 연상하게 하는 최면적 리듬과 기악 연주의 각종 장식음들은 작품 곳곳에 위치한 클라이막스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작품의 음악을 이끄는 핵심은 당연히 바리톤의 가창 전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그에게는 곡 내내 극한의 격정을 이끌어내어 텍스트를 구현할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것은 곡이 진행되면서 더 과감해지고 격렬하게 떨리는 목소리를 통해서 드러나게 된다.

50분이 넘는 대규모에 워낙 다채로운 모습을 하고 있는 작품이기에 다소 몰입도가 떨어지는 부분도 없지 않다. 그러나 최근 들어본 음악 중 이렇게 축적되는 구조를 통한 감흥을 잘 살린 예시도 드물다. 편하게 들을 수는 없으나, 그에 걸맞는 경험을 가져다주는 작품으로 인상 깊게 들었다.

+ Recent posts